다양한 사연으로 재외에 거주하게 된 우리들의 이야기가 있듯이 ‘그 시절’ 우리가 기억할 분들이 있기에, 일제강점기 국외 이주 한인의 역사를 학생들과 프로젝트 방식으로 수업을 하면
어떨까 구상하게 되었다. 국외 이주 한인에게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제자의 주선으로 러시아 이주 고려인이 거주하는 안산 “뗏골마을”을 답사하게 되면서였다. 일제강점기에 다양한 사연을
안고 한반도를 떠난 이들이 고려인만은 아닐 터인데, 그들의 이야기를 수업에 담아보고 싶었다.
이 수업은 ‘그 시절 우리가 기억할 분들’이라는 특강 형태로 진행되었다. 6차시 분량이며 학생들이 준비하는 “해외 이주 한인의 삶”과 교사가 준비하는 “일본군 ‘위안부’ 바로
알기” 수업으로 구성된다(수업 흐름은 아래 표 참조). 첫 해는 이주 한인의 역사를 알려야겠다는 열정만 가득해 내용이 많이 부실했다. 이 부족한 부분을 학생들이 채워줬다. 학생들은
모둠 활동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5분 분량으로 압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활발히 논의했다. 질의응답을 받아야 했기에 예상 질문과 답을 준비하며 학생들 스스로 내용을 풍부히 다져갔다.
교사인 나 또한 학생 수업을 들으며 꼼꼼하게 메모하고 관련 자료를 찾으며 함께 공부했다.
내가 이 수업에서 꼭 짚어주는 것이 있다면, 첫째, 간도 지역 발표 후 조선족 동포에 대한 우리들의 이중적 시선에 대한 것이다. 만주 지역의 무장투쟁을 자랑스러워하면서도 그 기반이
되어준 조선족 동포를 범죄자 취급하는 차가운 시선에 대해 언급한다. 둘째, 노예와도 같은 노동을 하면서도 한푼 두푼 모아 독립 자금을 보내준 많은 재외 동포들이 있었기에 그 열망이
모아져 독립이 이루어졌음을 상기시키고, 국외 거주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도록 당부한다. 올해는 처음으로 쿠바 지역을 넣었는데 마침 쿠바 한인 이주 100주년이라 더 의미
있는 수업이 되었다.
국외 한인 이주 수업 후에는 일본군 ‘위안부’ 바로 알기 수업을 진행한다. 학습지와 영상, 활동이 주가 되는 수업이다. 학생들은 소녀들의 아픔에 공감하기에 점프 과제로 주어지는
캘리그래피 만들기, 시 쓰기 활동에도 진심을 다한다. 코로나 발생 전에는 일본군 ‘위안부’ 수업 후 상하이 사범대학 내 전시관 답사(2017), 난징 리지샹 위안소
답사(2019)를 진행했고, 역사 동아리에서 중·고등 학생 대상 전시 부스(2019)를 운영하였다. 11학년 학생 2명이 일본군 ‘위안부’를 주제로 코즈 마케팅을 기획한 진로
프로젝트가 온오프라인에서 진행되어 전교생이 참여(2020)하는 등 학생들의 자발적 행사가 매년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수학 시간에 통계 포스터 만들기 소재로도 등장했고, 돌아오는
8월 14일 기림의 날에는 기림 배지 달고 인증샷 찍기 캠페인을 계획하고 있다. 하나의 주제를 던졌을 뿐인데 깊고 넓게 사고하며 행동으로 옮기는 무석한국학교 학생들이 있기에 이
수업은 살아 숨쉬는 것 같다.
학습주제 | 그 시절 우리가 기억할 분들 - 해외 이주 한인의 삶, 일본군‘위안부’ 바로 알기 | 지도대상 | 10학년 |
---|---|---|---|
차시 | 6차시 | ||
과목 | 한국사 | 교과서 | 미래엔 한국사 199쪽, 213쪽 |
학습목표 | 1. 해외 각지로 이주한 한인의 삶을 담은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2.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정확한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3.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알리기 위한 홍보물을 제작할 수 있다. |
단계 | 주요 활동 | 교수 - 학습 활동 | 유의점 |
---|---|---|---|
1차시 | 과제 제시 및 모둠 활동 |
모둠 구성 및 주제 선정(4인 1조, 제비뽑기) 영상 제작 유의 사항 제시(유인물 배부) 모둠 활동 : 관련 자료 찾기, 역할 분담, 콘티 구성 |
영상 제작을 위한 유인물 배부 장면 구성표 배부하여 1인 4장면 제작유도 |
2차시 | 모둠 활동 |
영상 제작 |
콘티 점검 및 부족한 내용 지도 |
3-4차시 | 영상 감상 |
영상 감상 제작 모둠별 질의응답 교사의 내용 정리 및 보충 설명 |
학습지 및 영상 상호 평가지 준비 |
5차시 | 멀티 학습 강의식 학습 |
일본군‘위안부’ 명칭 바로 알기 동영상 시청 – 소녀이야기(11분) 일본군‘위안부’의 발생 배경과 수요시위, 소녀상 |
영상 준비 및 학습지 배부 |
6차시 | 모둠 활동 |
‘지지 않는 꽃’ 전시 - 프랑스 앙굴렘 국제 만화페스티벌에 전시된 그림 중 몇 편을 함께 감상하기(일본군‘위안부’를 주제로 국제 사회를 울리다) ‘지지 않는 꽃’ 나무 꾸미기-색지에 할머니들에게 하고 싶은 말 혹은 수업 후 감상, 일본 정부에게 하고 싶은 내용 쓰기 |
캘리그래피 용지 준비 작품 전시 평가 문항 제작 |
학생 제작 영상 작품
교사 준비 특강
소녀에게
학생 작품을 이용한 평가지 제작
코즈마케팅을 이용한 홍보 활동
이 성 영 무석한국학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