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교육기관 온라인 소식지

본문 바로가기

한국학교 교원이야기

   >  ‘어린이 작가 되기’ 프로젝트 수업을 마치고

‘어린이 작가 되기’ 프로젝트 수업을 마치고

교육 기관이 설립된 이래 3RS(reading, writing,  arithmetic), 읽기, 쓰기, 셈하기는 초등 교육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교육 내용이었다. 학생들이 자기 생각을 글로 잘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교육의 중요한 목표이자 모든 교사의 바람일 것이다. 그러나 글쓰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은 드물다. 머릿속 생각을 밖으로 꺼내어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글로 쓰는 과정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상상하기는 좋아하지만, 창의적인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저학년 학생들을 위하여 ‘어린이 작가 되기’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그림책을 쓰고 자기 이름으로 된 책을 출판하여 작가가 되어 보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 프로젝트가 학생에게는 글 쓰는 과정도 즐거울 뿐 아니라 글을 쓴 후의 성취감도 큰, 유의미한 학습 경험이 된 것 같아 글쓰기를 가르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소개하고 싶다.

1. ‘어린이 작가 되기’ 프로젝트 학습의 목적
가. 작가가 되어 봄으로써 작가가 하는 일을 경험해 보고, 창작, 인쇄, 출판 관련 진로를 탐색하는 경험을 쌓는다.
나. 이야기를 창작해 봄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익힌다.
다. 자신의 생각이 활자화되어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통해 낱말, 문장, 문장 부호를 바르게 쓰려는 마음을 다지고, 글쓰기에 흥미를 가지고 즐겨 쓰려는 태도를 배양한다.

본교는 학생들의 진로와 연계한 교육 활동을 하고 있어 글쓰기 경험과 진로가 관련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 초등 3~4학년군 국어과 관련 성취 수준
영역 성취수준
읽기 [4국02-03] 글에서 낱말의 의미나 생략된 내용을 짐작한다.
쓰기 [4국03-02]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이나 행동이 드러나게 글을 쓴다.
[4국03-04] 읽는 이를 고려하며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 글을 쓴다.
[4국03-05] 쓰기에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글을 적극적으로 나누는 태도를 지닌다.
문법 [4국04-04] 높임법을 알고 언어 예절에 맞게 사용한다.
[4국04-05] 한글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지닌다.
[4국04-05]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여 이어질 내용을 상상하고 표현한다.

초등 국어과에서 그림책 쓰기와 관련된 성취 수준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위한 13차시의 학습 범위와 내용을 조직하였다.

3. ‘어린이 작가 되기’ 프로젝트 방침
가.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어린이 작가 되기’ 프로젝트를 위한 시간을 확보하고 수업 내용을 선정한다.
나. 다양한 발문을 통하여 학생이 표현하고자 하는 생각이 이야기로 구체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이끌어낸다.
다. 학생의 이야기가 삽화와 잘 어울려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기 영역에 대한 지도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라. 작품을 생산하는 것은 작가이지만, 독자가 그 작품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독자의 입장에서도 자기 작품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4. ‘어린이 작가 되기’ 프로젝트 학습 활동 계획
학습활동 차시 시기
• 내가 읽어 본 책 중 재미있는 책 찾기
• 책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우리 손에 올까?
수업 1 10월 2주
• 내가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싶은 생각은? 1 10월 2주
• 작가는 어떤 일을 할까?
• 내가 작가가 된다면 어떤 이야기를 쓸까?
2 10월 2주
• 그림책의 구성 요소 찾아보기(도서관 활용 수업) 3 10월 3주
• 내가 쓰고 싶은 이야기 16장면 구성하기 4-5 10월 3주
• 내가 쓰고 싶은 이야기 속 삽화 16장면 구성하기 6 10월 3주
• 내 책의 각 페이지에 들어갈 글쓰기 7 10월 4주
• 내 책에 들어갈 문장에 감각적 표현을 넣어 문장 다듬기 8 10월 4주
• 내 책에 들어갈 삽화 그리기1 9 10월 4주
• 내 책에 들어갈 삽화 그리기2 10 10월 4주
• 내 책에 들어갈 삽화 그리기3 11 10월 5주
• 내 책에 들어갈 문장과 삽화 배치하기 12 10월 5주
• 앞표지와 뒤표지 그리기, 책 제목 정하기 13 10월 5주
• 전자책 제작하기 10월 5주
•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신청 10월 5주
• 국립중앙도서관 서지 등록 10월 5주
• 출판사에 원고 넘겨서 종이책 인쇄 11월 1주
• 한국에서 중국으로 배송 11월 2주
• 학교 도서관 대출 시스템에 등록 11월 3주
• 대출하여 작가와 독자가 작품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경험 공유 11월 3주

5. 어린이 작가되기’프로젝트 추진 과정과 결과

국어 시간에 ‘어린이 작가 되기’ 프로젝트 학습하고 활동

그림책을 전자책으로 제작

ISBN 신청 및 국립중앙도서관 서지 등록

종이책으로 인쇄

국제배송

학교 도서대출시스템에 등록 후 대출

7주간의 프로젝트를 마치고 국제표준도서번호(ISBN)까지 인쇄된 책이 완성되었다. 여느 책처럼 청구번호와 등록번호를 붙인 후 학교 도서관에서 대출을 시작하였다. 책이 도착하기만을 손꼽아 기다리던 아이는 자신의 책을 보고 기뻐서 어쩔 줄을 몰랐다. 자기 이름으로 쓴 책 한 권을 가지는 것, 작가로 이름 매겨지는 것이 학생에게는 무엇으로도 살 수 없는 귀한 경험이 되었다. “언제 2탄이 나오냐? 빨리 읽고 싶다!”라고 또래 독자들이 요청을 하니 작가로서 책임감을 느꼈는지 벌써 뒷이야기 3편을 구상하고 있다. 글쓰기는 자기 생각을 꺼내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라는 글쓰기의 원리가 체득된 것 같다. 이 프로젝트를 통하여 학생이 창의적인 글쓰기를 더 이상 어렵게 느끼지 않게 되어서 교사로서 무척 보람되었다. 더 많은 학생의 글쓰기 경험이 한 권의 책으로 열매 맺어 도서관 서가에 꽂히기를 바란다.

<도서관에 있는 자신의 책을 들고>

박현주 연변한국국제학교 교사

재외교육기관포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