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를 위한 행복한 교육정보서비스
o 제시 단계의 수업 운영 - 학습내용 1. 제시 단계의 수업 내용 2. 세부 단계별 수업 구성 - 학습목표 1. 제시 단계의 수업 운영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제시 단계의 한국어 문법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 3. 세부 단계별 수업 구성을 나열할 수 있다.
o 도입 단계의 수업 운영 - 학습내용 1. 도입 단계의 수업 내용 2. 여러 가지 도입 기법 3. 도입 단계의 유의점 - 학습목표 1. 도입 단계의 수업 운영 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여러 가지 도입 기법을 파악하여 도입 단계의 한국어 문법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 3. 도입 단계의 유의점을 제시할 수 있다.
o 문법 수업의 구성 - 학습내용 1. 한국어 문법 수업의 구성 2. 한국어 문법 수업의 실례 - 학습목표 1. 한국어 문법 수업의 구성 단계를 나열할 수 있다. 2. 한국어 문법 수업의 실례를 단계별로 제시할 수 있다.
o 고급 한국어 수업의 실제 - 학습내용 1. 고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구성 요소 2. 고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특징 - 학습목표 1. 고급 단계 한국어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2. 고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o 중급 한국어 수업의 실제 - 학습내용 1. 중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구성 요소 2. 중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특징 - 학습목표 1. 중급 단계 한국어 수업을 요소별로 파악하여 구성할 수 있다. 2. 중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특징을 나열할 수 있다.
o 초급 한국어 수업의 실제 - 학습내용 1. 초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구성 요소 2. 초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특징 - 학습목표 1. 초급 단계 한국어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2. 초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특징을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o 한국어 수업의 구성 특징 - 학습내용 1. 한국어 수업의 구성 단계 2. 일반 한국어 수업의 운영방법 확인 - 학습목표 1. 한국어 수업의 구성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일반 한국어 수업의 운영방법을 확인하여 구성 단계에 맞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o 교실 운영 - 학습내용 1. 수업 운영의 내용과 특징 2. 교실 내 언어적 의사소통 3. 교실 내 비언어적 의사소통 - 학습목표 1. 수업 운영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교실 내 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교실 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